Science War 2009 ::: The Official Website of the Science War
 
Home
학생대제전
 - 총장 격려사
 - 인사말
 - 소개
 - 역사
 - 일정 및 MAP
 - 경기결과
선수소개
 - 해킹
 - 인공지능
 - 과학퀴즈
 - 공공의 樂
 - 축구 농구 야구
 - 스타크래프트
경기소개
 - 해킹
 - 인공지능
 - 과학퀴즈
 - 공공의 樂
 - 축구 농구 야구
 - 스타크래프트
Community
 - 뉴스
 - 홍보 동영상
 - 질문 게시판
 - 자유 게시판
 - 관련 사이트
 - 후원 업체
Home > Science War > 학생 대제전의 역사   





  • 2002년 Science War, 아직은 경쟁
      처음 시작된 행사였던 만큼 이공계만의 교류전이라는 특색을 보여주지 못했다. 농구, 야구, 축구, 여학생줄넘기의 운동 분야와 해킹, 스타, 과학퀴즈라는 과학 분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운동 분야가 과학 분야보다 더 비중이 높았다. 또한 여학생이 참여할 수 있는 종목이 많지 않아 여학생줄넘기, 과학 퀴즈 외에는 그다지 관심 있게 보지 못했다는 의견도 있었다.
      교류 면에서는 일정이 끝난 후 과별로 모여 간소한 다과와 맥주를 나누는 것으로 끝났고, 전체적으로도 협력보다는 경쟁에 중시하는 등 교류보다는 행사 진행으로 치우쳐 미흡한 점도 많았지만 이후 이어지는 Science War의 틀을 잡은 행사였다.

  • 2003년 Science War, 열띤 응원전
      두 번째 열리는 Science War. 2002년에 승리했던 농구와 야구는 패배하고, 패배했던 축구와 스타는 승리하는 등 반전이 많은 대회였다. 해킹에서는 안철수 연구소에서 맞는 정답에 대한 인증 코드 인식 오류로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Postech의 응원단 Cheero에 맞서 임시로 Kaist의 응원단 CFK(Cheero For Kaist)가 결성되어 열띤 응원전을 펼쳤다. 결국 4:3으로 2년 연속 카이스트에게 승리를 안겨주게 되었다.
      1회때 미흡했던 과학분야 종목을 보완하고자, 야심차게 적분미로대회를 신설하였다. 체육관에 미로세트를 설치하고 선수들이 미로를 탈출하기 위해 이동경로에 따른 적분문제를 푸는 경기였다. 미로세트에 예산이 집중됨에도 불구하고 관중과는 달리 선수들은 미로 구조를 모르기 때문에 시간이 길어졌으며 관중은 스크린에 보이는 적분문제를 푸는 것 외에 볼거리가 없어 아쉬움이 남았다.
      매일의 일정 이후에는 동아리와 학과 별로 서로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다. 하지만 동아리와는 달리 학과 교류의 경우에는 원정단인 카이스트의 잠자리가 경주에 있던 관계로 짧은 시간동안의 교류가 전부여서 아쉽기도 했다.

  • 2004년 Science War, 행사의 미흡
      농구의 짜릿한 역전승, 스타의 연승 행진과 더불어 골든벨 형식으로 진행된 과학퀴즈, '까리용을 울려라' (까리용은 편종이라는 뜻의 불어 단어로, 카이스트 오리연못에 있는 적녹파 3색의 번개형상 조형물로 상단에 종이 있음)에서 1,2,3위 모두를 차지한 Postech의 선전으로 최초의 Postech 승리를 기록한 해였다. 과학퀴즈 우승자의 "카이스트 여러분, 공부 좀 합시다"라는 발언이 승리의 쾌감을 더했다. 하지만 매년 이뤄져 이공계의 특색을 살려주던 해킹 대회가 안철수 연구소의 사정으로 열리지 못해 아쉬움을 남겼다.
      마지막 날 기획했던 간소한 다과회는 Postech의 승리로 인해 광란의 파티로 이어졌다. 각 과들은 모두 테이블 위로 올라가 우승 트로피에 맥주를 따라 마시며 목을 터져라 과가 및 애국가를 불렀고, 1시간 반으로 예정되었던 다과회는 Kaist의 ‘자고가!’, Postech의 ‘재워줘!’ 연창으로 2시간 반 가까이 지체되기도 했다. 승리의 기쁨이 어떤 것인지를 제대로 보여주는 Science War이었다.

  • 2005 Science War, 다양한 시도
      대대로 이어져왔던 이공계의 특색을 살리는 문제를 해결하려는 듯 여러가지 행사를 추가하였다. 뉴아이템(버스를 이동시키는 러쉬아워 실사판, 연산자를 조합해 제시된 숫자에 근접시키는 연산자 게임 등) 경기와 인공지능 경기가 시행되었고, Postech측에서는 레고블럭과 마인드스톰으로 자동차를 만들어서 미로를 탈출하는 시범경기를 추가해 더욱 풍부한 행사를 만들었다. 하지만 그만큼 더욱 빡빡해진 일정으로 힘들었다는 의견도 많았다.
      해킹, 야구에서 승리하고 Postech의 효자 종목 스타 대회에서도 승리를 거두었지만 그 외의 종목에서 Kaist가 승리, 결국 최종 우승은 Kaist가 가져가게 되었다.

  • 2006 Science War, 모두의 참여
      새로 신설된 과교류에서 압승을 거두고, Science War의 백미인 해킹을 이겼다. 과교류는 실시된 8개과 중 6승 1무 1패라는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고, 해킹 역시 여유롭게 KAIST를 따돌리며 승리했다. 하지만 운동경기(농구, 축구, 야구)에서 모두 패하고, 인공지능 역시 2:3으로 역전패 당하면서 종합 승리 역시 KAIST에게 내주고 말았다. 하지만, 과학 경기 증설을 위해 도입한 과교류가 좋은 평가를 받았고, 성적 역시 뛰어나 훗날 POSTECH의 우승 가능성을 열어 두었다.

  • 2007 Science War
      한번만 더 지게 되면 우승 트로피를 영구히 빼앗기게 되는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제 5회 Science War을 준비했던 선수들과 서포터즈들의 각오는 남달랐다. 홈에서 KAIST를 맞이하여 어느 때 보다도 치열하게 경기를 했던 6회 대회에서 농구, 야구, 인공지능을 비롯하여 해킹과 학과교류에서 승리하여 일찍이 종합 우승을 확정지은 POSTECH, 역대 전적에서도 1승을 추가하여 2승 4패를 만들어 놓았다. 이날의 종합우승은 도중에 카이스트 선수가 ㅈㅈ치고 나간 인공지능과 14점차를 역전하며 슬램덩크의 한 장면을 재현해낸 농구등 역대 Science War 최대의 명경기 열전으로도 손꼽힌다.

  • 2008 Science War
      Triple Crown! 역대 전적 3승을 향한 Postech의 염원이 담긴 motto였고, 그 꿈은 이루어졌다. 동점과 역전이 반복되며 긴장감이 고조된 첫 경기 농구를 아쉽게 내주고 저녁에 AI와 스타크래프트를 주거니 받거니 하면서 첫날을 마무리했다. 이튿날 비에 비 맞으며 야구선수들과 서포터즈가 하나 되어 응원했지만 패배로 끝나고 카이스트가 우승에 한걸음 다가선 듯 보였지만 과학퀴즈에서 카이스트 모든 팀을 전멸시키며 승리의 발판을 만들고, 해킹에서도 승리하며 3승을 확정지었다.
      비어파티와 클럽 운영 등으로 교류를 유도하려 하였으나 홍보가 부족했고, 신입생들의 참여를 유도한 '공공의 樂'에서 egg drop, 교량 만들기, 루브골드버그라는 새로운 행사로 다채로움을 더했지만 준비와 참여의 면에서 미흡한 점이 있었다.





  •  2008년 제 7회 Science War
    종목 경기 결과 경기 성적
    축구 KAIST 승 1 : 2
    농구 KAIST 승 57 : 61
    야구 KAIST 승 2 : 6
    스타크래프트 POSTECH 승 3 : 1
    해킹 POSTECH 승 8 : 6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KAIST 승 1 : 2
    과학퀴즈 POSTECH 승 400 : 0
    에그드랍 POSTECH 승 100 : 0
    다리만들기 KAIST 승 0 : 100
    루브골드버그 POSTECH 승 100 : 0
    종합 전적 POSTECH 승 종합득점 1000 : 800


     2007년 제 6회 Science War
    종목 경기 결과 경기 성적
    축구 KAIST 승 2 : 4
    농구 POSTECH 승 53 : 51
    야구 POSTECH 승 13 : 6
    스타크래프트 KAIST 승 2 : 3
    해킹 POSTECH 승 7 : 3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POSTECH 승 2 : 1
    과학퀴즈 KAIST 승 1위 KAIST
    2위 POSTECH
    3위 KAIST
    학과교류A경기
    (50점/학과)
    POSTECH 승 4 : 1
    학과교류B경기
    (총점100점)
    KAIST 승 2 : 3
    종합 전적 POSTECH 승 종합득점 760 : 490


     2006년 제 5회 Science War
    종목 경기 결과 경기 성적
    축구 KAIST 승 1 : 2
    농구 KAIST 승 52 : 62
    야구 KAIST 승 7 : 13
    스타크래프트 KAIST 승 1 : 2
    해킹 POSTECH 승 11 : 7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KAIST 승 2 : 3
    과학퀴즈 KAIST 승
    학과교류 POSTECH 승 6승 1무 1패
    종합 전적 KAIST 승


     2005년 제 4회 Science War
    종목 경기 결과 경기 성적
    축구 KAIST 승 1 : 3
    농구 KAIST 승 53 : 55
    야구 POSTECH 승 13 : 3
    스타크래프트 POSTECH 승 3 : 0
    해킹 POSTECH 승 11 : 7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KAIST 승
    과학퀴즈 KAIST 승
    뉴아이템 KAIST 승
    종합 전적 KAIST 승


     2004년 제 3회 Science War
    종목 경기 결과 경기 성적
    축구 KAIST 승 4 : 5
    농구 POSTECH 승 58 : 57
    야구 KAIST 승 8 : 19
    스타크래프트 POSTECH 승 1 : 2
    해킹 미개최
    (안철수연구소의 사정)
    과학퀴즈 POSTECH 승
    종합 전적 POSTECH 승


     2003년 제 2회 Science War
    종목 경기 결과 경기 성적
    축구 POSTECH 승 1 : 1(PK 4 : 2)
    농구 KAIST 승 57 : 70
    야구 KAIST 승 10 : 12
    스타크래프트 POSTECH 승 2 : 1
    해킹 KAIST 승 9 : 13
    과학퀴즈 POSTECH 승
    적분미로 KAIST 승 328 : 333
    종합 전적 KAIST 승


     2002년 제 1회 Science War
    종목 경기 결과 경기 성적
    축구 KAIST 승 1 : 2
    농구 POSTECH 승 71 : 64
    야구 POSTECH 승 18 : 15
    스타크래프트 KAIST 승 0 : 2
    해킹 무승부
    과학퀴즈 KAIST 승
    여학생 줄넘기 KAIST 승
    종합 전적 KAIST 승



    
    ⓒ Copyright 2009 The Science War Organizing Committee for the Science War 2009. All Right Reserved.
    본 웹페이지는 Internet Explorer 7.0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Designed by ::: http://dexto.net & ljsilverstar
    Powered by loate & sinaman